검사합 계산 → 16비트
8바이트로 내이름 udp packet만들기
EOM TAE JUN
69 = 0100 0101
79 = 0100 1111
77 = 0100 1101
84 = 0101 0100
65 = 0100 0001
69 = 0100 0101
74 = 0100 1010
85 = 0101 0101
78 = 0100 1110
0110 0101
+ 0100 01111
--------------------
1001 0100
1001 0100
+ 0100 1101
---------------------
1110 0001
1110 0001 0011 0101
+ 0101 0100 + 0000 0001
-------------------- → 이런경우 제일 앞에 1을 맨 뒤로 와서 더한다. → ----------------------------
1 0011 0101 0011 0110
0011 0110
+ 0100 0100
------------------------
0111 1010
0111 1010
+ 0100 0001
-------------------------
1011 1011
1011 1011 0000 0000
+ 0100 0101 + 0000 0001
-------------------------- → -----------------------------
1 0000 0000 0000 0001
0000 0001
+ 01001010
--------------------------
0100 1011
0100 1011
+ 0101 0101
-------------------------
1010 0000
1010 0000
+ 0100 1110
-------------------------
1110 1110
sum = 1110 1110
check sum = 0001 0001
sport = 5454
dport = 9898
udp header = 8byte
message = 0100 0101 0100 1111 0100 1101 0101 0100 0100 0001 0100 0101 0100 1010 0101 0101 0100 1110(EOM TAE JUN)
따라서 UDP packet은 (포트는 임의로 정함.)
↓
5454 : 9898 : 17 : 0100 0101 0100 1111 0100 1101 0101 0100 0100 0001 0100 0101 0100 1010 0101 0101 0100 1110
예전 전자우편은 한글을 보낼 수 없었을까?
초기에는 영어만 사용가능했었습니다.
하지만 한글은 2바이트기 때문에 보낼수 었었습니다.. (1byte가 아니여서)
Linux
시스템은 계정통합이 중요함.
A linux : 1.1.1.11
ast01:1001
B linux : 1.1.1.12
ast01:2001
uid넘버를 비교합니다.
계정의 uid넘버를 통합해서 사용하는게 상식.
userdel -r [이름]
-r 넣어주기 반드시!!!
안 넣으면 디렉터리 같은걸 손수 하나씩 지워야하기 때문에 번거롭습니다.
주체 : 사용자, 그룹
주체, 대상 : 업무
file , dir : 대상(소유자라는 개념이 있음. 반드시.)
file = 개인소유자(반드시 1명만 소유할수있음. 2명이 소유할수있는것은 없다.[책임지라고..(책임추적성)])
-rw-r--r--. 1 root root 129 3월 15 2021 → 모든 시스템의 공통정보.
퍼미션 : 하드링크 수: 소유자, 소유자 그룹 : 크기 :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M타임)
d : 디렉터리
- : 일반 파일
c : 문자 디바이스 파일(프린터기, 터미널등)
b : 블록 디바이스 파일
-rw-r--r-- : 권한 필드(9개.(이걸로만 통제), 가장큰 단점.)3개씩 끊어서 사용
-rw-r--r-- = 기본 퍼미션.
소유자/그룹 소유자/소유자, 그룹 소유자 빼고 나머지 모든것.
(유닉스,리눅스에서만 user = 소유자)라고 합니다.
권한필드 9개 = 퍼미션(프리빌리지)
r = 읽기
w = 쓰기(수정)
x = 실행
디렉터리도 파일로 취급을 합니다.
디렉토리 안에 목록을 읽는건 =r
디렉토리안에 있는 파일을 삭제하거나 수정하거나 추가하는걸 =w
디렉터리에 들어갈수있느냐 하는걸 = x
8진수로 표기
r - - =100 = 4
- w - = 010 = 2
- - x = 001 = 1
rwxr-xr-x : 755
rwxr--r-- : 744
주로 사용하는것
rwx = 7
r-x = 5
rw- =6
r-- = 4
퍼미션 수정
# chmod [옵션] [퍼미션 ] [파일]
옵션
-R
: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수정
# chmod 755 a.txt
# chmod -R 750 aa/
대상 : u(user), g(group), o(other), a(all)
operator : +(추가), -(삭제), =(지정항목만 설정한다. chattr과 동일)
퍼미션 : r,w,x,s,t(s와t는 아직 안배움!)
# chmod o+x,g-x a.txt
# chmod g+wx, o-w, o+x a.txt
# chmod a+rwx,g=w a.txt
소유자,그룹 소유자 변경
# chown [-R] [유저명] [대상]
# chown [-R] [유저명].[그룹명] [대상] - 비표준명령
# chgrp [-R] [그룹명] [대상]
. = 스카마
예 ) chown -R .st a.txt
ㄴ 이런식으로 나타낼수도 있지만 사용을 지양한다.
usermod
# usermod [옵션] [사용자명]
- g : 그룹 변경
- G : 보조 그룹 변경
. -a와 함께 쓰면 보조그룹이 추가된다.
- s : 셀 변경- u : UID변경
- l : 계정 변경 (--login)
-d, -m 도 같이 사용된다. - d : 홈디렉토리 변경 (--home)
-m : 지정한 홈디렉토리 생성 및 파일 이전, -d 와 함께 쓰인다.(--move-home)
-g는 사용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usermod -G user st01
ㄴ 만약 기존에 보조그룹에 속해있었는데 새로운 보조그룹으로 넣으면 기존의 속해있던 보조그룹은 없어지고 새로운 보조그룹에 속합니다.
-a 를 추가해주면 기존에 그룹은 두고, 새로운 그룹에도 포함이 됩니다.
usermod -a -G “” st01
ㄴ 원래 있던 보조그룹들이 싹 사라집니다.( 메인그룹에만 속하고 어느 보조그룹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PT
Switch 간 연결 Port에 따라 VLAN 접속이 가능
trunk
- 다중 vlan모드
.양쪽 포트를 트렁크로 정의하면 모든 vlan 패킷을 전달할수 있습니다.
trunk를 사용하면 라인에 트래픽이 몰리는데, 그렇게 되면 성능이 좋은 라인에 trunk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vlan으로 나눴다하면 네트워크 주소도 다릅니다.
그러므로 VLAN간에 통신은 반드시 L3 장치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R1 : g0/0 → vlan10 | vlan10의 gateway역할을 함.(1.1.1.0/24의 게이트웨이), ip : 1.1.1.1/24
g0/1 → vlan20 | vlan20의 gateway역할을 함.(2.2.2.0/24의 게이트웨이), ip : 2.2.2.1/24
'kh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714014) 퍼미션&파일시스템, 정적(static) 라우팅 (3) | 2025.07.14 |
---|---|
(20250711013)SSH key & 패킷 트레이서, PHP (2) | 2025.07.11 |
(20250709011)사용자 관리&STP, VLAN (5) | 2025.07.09 |
(20250708010) VI 에디터 & udp, pt (1) | 2025.07.09 |
(2025070709)리눅스 기초 명령어 & TCP/UDP, 패킷트레이서 (0)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