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사용하면, 다른 서버를 사용 못 함.(항상 단독으로 있으려고 함.)
클라는 어떤 버전을 쓰는 상관 없음. 리눅스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가능,윈도우는 디비 접속하는 거만 사용함.
설치는 되는데 삭제는 안됨.
디비는 작업할때 미리 메모리를 먹고 시작한다. 메모리를 같이 쓰면 충돌 나서 죽는다.
오라클 설치
ORACLE_HOME의 위치를 잘 확인 해야한다.
사용할 디렉토리를 확인하고 새로 만들어 준다
• 생성 : C:\app\oracle\client_21\network\admin
색 칠한 곳이 ORACLE_HOME
환경변수
• PATH
- 추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추가 : C:\app\oracle\client_21
• ORACLE_HOME
- ORACLE_HOME=C:\app\oracle\client_21
• TNS_ADMIN
- TNS_ADMIN=C:\app\oracle\client_21\network\admin
위 내용을 환경변수에 등록한다.
TNS_ADMIN 파일 추가
C:\app\oracle\client_21\network\admin에서
sqlnet.ora와 tnanames.ora 파일 넣어주기.
ㄴ 강사님이 주셨다.
sqlnet.ora
NAMES.DIRECTORY_PATH = (TNSNAMES, EZCONNECT)
tnanames.ora
dal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 (HOST = 192.168.10.11) (port = 1521))
(CONNECT_DATA = (SID = DB19))
)
ㄴ dal = tns명
'kh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827044)Docker Image & HUB (0) | 2025.08.27 |
---|---|
(20250825042)docker (0) | 2025.08.25 |
(20250822041) ssh key, docker down (0) | 2025.08.22 |
(20250821040)ssh 서버 (0) | 2025.08.21 |
(20250820039)samba 서버, congestion control (0)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