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4

오라클 데이터파

데이터파일을 조작할 떄 테이블스페이스로 조작한다.ㄴ 특정 테이블페이스에 저장되어있다. 데이타 딕셔너리가 오라클 관리에 핵심적이다. 딕셔너리 테이블 → 데이터파일에 저장된 놈들. 데이터파일은 테이블스페이스단위로 묶어서 사용함.ㄴ 일반 사용자는 테이블스페이스를 사용함. 테이블스페이스만들때 데이터파일이 생성됨. 데이터파일을 삭제되는 명령어가 없음.ㄴ 테이블스페이스 지우면 그 안에있는 데이터파일이 삭제된다. 테이블스페이스는 하나이상의 데이터파일로 구성되어있.반드시 어떤 특정 스페이스에 속해있어야 한다. 테이블스페이스 종류 ------------------------------------SYSTEM → 우리가 만들거나 삭제가 불가능. db가 생성되면 만들어짐. db가 지워지면 지워짐.ㄴ 데이터 딕셔너리..

카테고리 없음 2025.10.16

오라클 리두로그 파일

리두로그 파일ㄴ 어느 한 부분의 장애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거 풀백업 : 이전시점으로 돌아가지 않아도 될때 사용. 백업 할때 : 특정시점에서 데이터가 완전 무결하기때문에 전으로 돌아갈필요가 없어요 할때 니드로그는 사용을 그룹단위로 한다.최소한의 그룹은 3개 ,맴버는 그룹당 2개씩ㄴ 한 그룹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그룹안에 멤버는 미러셋이다. → 날라가면 큰일나기 때문에. 같은그룹 있는 멤버는 다른 디스크에 있어야 한다.그룹간에 멤버의 개수는 차이가 있으면 안된다. 니드로그는 같은 파일에 들어가면 안된다.ㄴ 데이터파일을 복구하는데 사용하기 때문. 리두로그 파일은 순환하는 방식. 로그스위치 = 현재 사용 중인 리두 로그 파일 그룹이 가득 차서 LGWR 프로세스가 다음 리두..

카테고리 없음 2025.10.16

오라클 컨트롤 파일

컨트롤 파일. 컨트롤 파일은 매우 중요한 파일 → 데이터베이스 생성할때 만들어짐.(리커버리의 재료) 이게 날라가면 재대로 복구 못할수 있다.(db날라간다고 생각하셈.)ㄴ 그래서 똑같은걸 여러개 동시에 운영한다.(미러 셋 : 안전성을 높이는 것)ㄴ 미러셋을 디스크 하나에 두는게 아니라 반드시 여러 디스크에 분산해서 놓는거다.ㄴ 오라클 운영할떄 최소 물리적인 디스크가 최소 5개 이상 있어야 한다. 테이블 스페이스- 모든 테이블은 데이터파일에 저장되어있다. 사용자는 데이터파일 사용 불가능. 사용자는 테이블 스페이스를 사용. 오라클은 테이블의 크기에 제한이 없다.오라클은 죽은다음 파일을 옮기고,수정할수있다.컨트롤 파일은 죽은다음 해야함 무조건. SPFILE 사용시 제어 파일 다중화 1. SPFI..

카테고리 없음 2025.10.16

오라클 파라미터

오라클은 그룹이라는 개념이 없다. 권한을 공유한다는것은 보안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 그래서 ROLE(역할)이라는 개념이 있다.ㄴ 권한의 묶음이다. connect, resource → role CREATE USER st01IDENTIFIED BY st01; GRANT connect, resource TO st01; lsnrctl [ stop | start | status ] lsnrㄴ 리스너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명령어 listener.ora 서버가 리스너를 띄우기위한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startup해준다.lsnrctl stoplsnrctl startlsnrctl status 오라클은 어떻게 구성되어있어요???ㄴ 인스턴스랑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있어요.ㄴ 인스턴스는 sga랑 백그라운드프로세스. p..

카테고리 없음 202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