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교육

(20250715015)파티션

boangod 2025. 7. 15. 21:45

fdisk → mkfs → mount

 

 

파티션 종류

Primary partition

ㄴ 최대 4개까지 생성가능, 기본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ㄴ 디스크당 1개밖에 만들 수 있음, logical partition을 담는 그릇

 

Logical partition

ㄴ Extended partition 안에 들어가는 실제 사용 파티션

 

 

p+e = 4개

1~4번 : Primary partition, Extended partition

5 ~ 번 : Logical partition

 

fdisk

물리적인 디스크에 논리적인 파티션을 생성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

 

# fdisk [디스크명]

 

# fdisk /dev/sda

 

fdisk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p : 현재 파티션 상태 출력

d : 파티션삭제

n : 파티션 생성(리눅스 네이티브 파티션(표준)만 만들 수 있다.)

t : 파티션 변경(극히 드물다.)

w : 저장 후 종료(작업했으니까 커널아 네가 작업 완료해 줘.)

q : 취소 후 종료

 

first sector에서는 무조건 enter누르기

out of range 이건 용량보다 더 잡은 거니까 그냥 enter 쳐

 

 

예전에는 디스크 용량이 작은데도 파티션을 많이 나누었습니다.

이유는 로그파일이 만들어지는 파티션을 따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하면 로그파일이 많이 쌓여 폭주해서 시스템의 마비가 오기 때문에 그것을 방지하려 그렇게 사용했습니다.

 

 

 

mkfs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줍니다.

 

# mkfs -t [파일시스템 타입] 파티션명

 

 

저희는 전부 xfs방식을 사용합니다.

 

파일시스템 타입과 명령어

mkfs -t xfs → mkfs.xfs

 

예)  mkfs.xfs -f /dev/sda1

파일 시스템이 재구성되는 경우 mkfs.xfs에서 사용하는 –f 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f를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mount

파일시스템은 지정한 디렉터리에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도록 합니다.

mount를 해줘야 해당 파티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치를 디렉터리에 연결함.

어떤 장치를 어떤 디렉터리로 연결해 주는 것.

 

# mount [-a] [-t [FStype]] [장치명] [디렉터리]

 

 

옵션

-a : /etc/fstab의 내용을 읽어 모두 mount 한다.

-t : 파일 시스템 양식을 정한다.

-o : 마운트 옵션을 추가로 지정한다.

. noatime : atime을 갱신하지 않는다..

. remount : 옵션을 변경을 위해 재마운트한다.

. ro : Read Only로 정의한다. - 퍼미션이랑 상관없이 읽기 전용으로 만듦.

 

umount

mount 된 파일시스템을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합니다.

 

# umount [디렉토리명] 또는 [장치명]

 

 

만약 /home2/aa/에 파일들을 많이 만들었습니다.(/home/aa/a.txt b.txt c.txt...) 이렇게 잘 사용하다가 위에서 나온 대로 파티션을 나눠서 sdb sdb1 sdb2로 나누었고 sdb1을 /home2에 mount 합니다. 그렇게 되면 이전에 aa에서 만들어 두었던 파일( a.txt b.txt c.txt... )들은 이제 더 이상 사용을 하실 수 없습니다. 파일을 액세스 할 수 있는 방법은 mount 한 것을 umount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일단 이렇게 mount를 하고 다시 /home2/aa/에 파일들을 많이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가 umount 할 일이 생겨 umount를 하게 된다면, 이전에 있던 파일들을 다시 사용하실 수 있고 mount 한 동안에 만든 파일들은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하지만 다시 다른 디렉터리에 mount 하게 된다면 그 파일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닉 채널방식

ㄴ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데 파일에 액세스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위에 상황)

 

 

 

연습

 

기존에 나눴던 파티션 삭제
/home/st01, st02, st03을 만들어서 primary로 3개 나눠서 각각 할당해 주기

(st01 : 10G, st02 : 5G, st03 : 5G)

 

 

 

 

 

 

 

mkdir /home/st01 st02 st03

fdisk /dev/sdb

mkfs.xfs -f /dev/sdb1
mkfs.xfs -f /dev/sdb2
mkfs.xfs -f /dev/sdb3

cd /home

mount /dev/sdb1 /home/st01

mount /dev/sdb2 /home/st02

mount /dev/sdb3 /home/st03

df | grep sd*

 

 

자동 마운트는 다음 시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