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설정을 확인
NIC 지원 (Network Interface Card) - lan카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하다.
- 리눅스의 경우 ens160, ens32(eth0, eth1)… 등의 이름으로 명명한다.
디바이스 파일
• 커널 : 4.18.0-553.el8_10.x86_64 (RockyLinux8)
• /lib/modules/4.18.0-553.el8_10.x86_64/kernel/drivers/net/ethernet
ip ifconfig
패키지 iproute net-tools
최신 배포판 지원 기본 설치 설치가 필요할 수 있음
기능 네트워크 명령이 대부분 통합됨 추가적인 명령이 필요함
ifconfig는 유닉스에서는 기본 시스템이지만 linux에서는 점점 ip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NetworkManager(네트워크 컨피그를 변경할떄 주로 사용함.) : nmcli, nmtui
ㄴ gui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하는것과 같다.
127.0.0.1 이 중요했던 이유
예쩐엔 tcp/ip가 없었다. 그래서 따로 설치했어야 하는데 아무데나 설치할수가 없음. 물리적으로 lan카드가 있어야 설치를 할수 있다. 그래서 예쩐 컴은 lan카드가 없었다. 그떄 lan카드가 없으면 가상으로 127.0.0.1을 만듭니다.
컴퓨터에 tcp/ip 깔아라고 속이는것.
예전에는 컴퓨터에 tcp/ip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따로 설치했어야 했었습니다. 물리적으로 lan카드가 있어야 설치를 할수있습니다.
lan 카드가 없을때 루프백으로 시스템 내부에서 가상으로 작동을 합니다. 왜냐하면 자기자신에게 보내는 네트워크연결 이기때문에 실제 하드웨어가 없어도 되기 때문입니다.
인터페이스 및 기본정보 확인(이거 3개는 정말 많이 사용)
# ip a : (윈도우 ipconfig와 유사)
- 모든 인터페이스의 IP설정등 다양한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 'ip address show', 'ip add' 등으로 표현 가능
# ip a show dev [NIC]
- 지정한 NIC의 설정 정보 확인
- NIC를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
# ip link show [NIC]
- 지정한 인터페이스나 또는 모든 인터페이스의 링크 상태 정보 확인
사실 ip a 만 사용해도 정보가 어느정도 다 나옵니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
- NetworkManager가 활성화 된 경우 직접 편집하지 않는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IC명
ㄴ 네트워크 설정 : IP, subnetmask, gateway
/etc/resolv.conf
ㄴ DNS Server
/etc/hostname
ㄴ 호스트명
추가 설정 파일
/etc/sysconfig/network
ㄴ 호스트명, gateway, NOZEROCONF=yes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60 - cat 사용해서 보면 밑에 내용이 나온다.
TYPE=Ethernet BOOTPROTO=[static/dhcp/bootp/none]
DEVICE=nic명
UUID=UUID명
ONBOOT=[yes/no]
IPADDR=IP
PREFIX=Subnet Mask
GATEWAY=gateway 주소
DNS1=dns 서버 주소
...... ......
/etc/resolv.conf
search [default 도메인명]
nameserver [DNS 서버 IP]
- NetworkManager에 의해 재 부팅시에 ifcfg-ens160에 따라 재구성된다.
- named 서버 test시에 임시 설정은 이 파일을 이용한다.
/etc/sysconfig/network
NOZEROCONF=yes
- Zero Configuration Networking을 위하여 예약된 subnet 설정을 제거한다.
- 반드시 필요한 옵션은 아니다
systemctl
ㄴ 서비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ip 관련 설정을 변경
NetworkManager를 이용한 설정
#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service
# systemctl start NetworkManager.service
NetworkManager가 실행 중일 때 nmtui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하다
실습
nmtui로 아이피 바꾸고 reboot해보기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
# ip linu set [NIC] up/down
ㄴ 지정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한다.
예)
# ip link set ens224 down
# ip link set ens224 up
실습
VM에 렌카드를 추가해서 nat로 설정.ip주소 추가하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service
→ 바뀐 ip가 추가(기존 ip를 보존 : 기존 접속 유지)
nmcli conn up ens224(nic명)
→ ip가 바뀜.
PT
RIP v2
auto summary
- 1.1.1.0/24, 2.2.2.0/24, 3.3.3.0/24를구분하지않고1.0.0.0, 2.0.0.0, 3.0.0.0 으로 인식한다.
RIP v2 설정
명령
version 2 : RIP v2 모드 활성화
no auto-summary : Auto summaty 비 활성화
설정확인은 show running-config로 확인할수 있다.
Classful로 설정되어 있지만 작동과 무관합니다.
RIP을 이용한 default route 정보 전달
• 정적 라우팅 환경에서는 라우터에 직접 default route 정보를 설정했으나 RIP에서는 default route 정 보를 RIP를 통해 전달 가능합니다.
명령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 RIP(OSPF)을 통해 default route 정보를 전달합니.
: EIGRP는 static 재분배 명령을 이용합니다.
(config-router)# redistribute static
Default router 설정
- default route 설정은 정적 라우팅 설정과 동일하다.
- 외부 네트워크로 local loopback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 loopback 인터페이스를 인터넷(ISP) 연결로 간주한다
# int loopback
ㄴ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가상 인터페이스기 때문에 no shutdown명령어가 필요없다.
#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ㄴ default route 인터페이스를 지정하고 이를 rip이 광고하도록 설정
실습
static으로 네트워크 환경 구성하기
R1
en
conf t
hostname R1
no ip domain-lookup
int gig0/0
ip add 1.1.1.1 255.255.255.0
no shut
int s0/0/0
ip add 11.1.1.1 255.255.255.0
no shut
exit
ip route 3.3.3.0 255.255.255.0 11.1.1.2
ip route 10.10.10.0 255.255.255.0 11.1.1.2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2
en
conf t
hostname R2
no ip domain-lookup
int loopback0
ip add 10.10.10.1 255.255.255.0
int s0/0/0
ip add 11.1.1.2 255.255.255.0
no shut
int s0/0/1
ip add 22.1.1.2 255.255.255.0
no shut
exit
ip route 1.1.1.0 255.255.255.0 11.1.1.1
ip route 3.3.3.0 255.255.255.0 22.1.1.1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3
en
conf t
hostname R3
no ip domain-lookup
int gig0/0
ip add 3.3.3.1 255.255.255.0
no shut
int s0/0/0
ip add 22.1.1.1 255.255.255.0
no shut
exit
ip route 1.1.1.0 255.255.255.0 22.1.1.2
ip route 10.10.10.0 255.255.255.0 22.1.1.2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ip으로 네트워크 환경 구성하기
R1
en
conf t
hostname R1
no ip domain-lookup
int gig0/0
ip add 1.1.1.1 255.255.255.0
no shut
int s0/0/0
ip add 11.1.1.1 255.255.255.0
no shut
exit
router rip
version 2
no auto-summary
network 11.1.1.0
network 1.1.1.0
passive-interface g0/0
exit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2
en
conf t
hostname R2
no ip domain-lookup
int loopback0
ip add 10.10.10.1 255.255.255.0
int s0/0/0
ip add 11.1.1.2 255.255.255.0
no shut
int s0/0/1
ip add 22.1.1.2 255.255.255.0
no shut
exit
router rip
version 2
no auto-summary
network 11.1.1.0
network 22.1.1.0
passive-interface loopback0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exit
ip route 0.0.0.0 0.0.0.0 loopback0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3
en
conf t
hostname R3
no ip domain-lookup
int gig0/0
ip add 3.3.3.1 255.255.255.0
no shut
int s0/0/0
ip add 22.1.1.1 255.255.255.0
no shut
exit
router rip
version 2
no auto-summary
network 3.3.3.0
network 22.1.1.0
passive-interface g0/0
exit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kh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722019)라우팅정보 추가/삭제,nat구성 (1) | 2025.07.22 |
---|---|
(20250718018)IP설정 변경, 리눅스 클론, php (0) | 2025.07.18 |
(20250716016)파티션&정적 라우팅, Default 라우팅, 동적 라우팅 (1) | 2025.07.16 |
(20250715015)파티션 (0) | 2025.07.15 |
(20250714014) 퍼미션&파일시스템, 정적(static) 라우팅 (0)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