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교육

(20250716016)파티션&정적 라우팅, Default 라우팅, 동적 라우팅

boangod 2025. 7. 16. 21:41

리눅스

 

요즘은 컴퓨터에 cd드라이브가 없다.. 그래서 iso파일을 주로 사용합니다.

 

vm웨어에서

 

vm → remove → cd/dvd→setting

 

[root@Linux156 /]# mount /dev/sr0 cdrom/

mount: /cdrom: WARNING: device write-protected, mounted read-only.

ㄴ readonly라서 write 못함.

 

/dev/sr0 을 디렉터리에 마운트 해서 들어가보면

AppStream에 Packages에 파일들이 많이 있다. 만약 네트워크 연결이 안된다면 이쪽에서 다운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blkid

- uuid를 볼수 있는 명령어

ㄴ uuid - 장치고유 식별자(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파티션의 고유 정보로 디스크의 위치가 바뀌어도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mount 명령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xfs_admin

- 파티션에 다양한 파라미터를 변경하거나 확인한다.

라벨명 = 어떤용도로 사용하는지 알게 만들기.

 

# xfs_admin-L [라벨명] [장치명]

# xfs_admin-L "--" [장치명]                 -- : 라벨명 없앨떄 사용

# xfs_admin-l(소문자) [장치명]           -l : 라벨명이 무엇인지 확인할때 사용

 

- L : 라벨명 정할때 사용

- l  : 라벨명 확인할때 사용

 

findfs

- UUID or 라벨명으로 장치명을 확인한다

 

# findfsLABEL=[라벨명]

# findfsUUID=[uuid]

 

디바이스명을 찾고싶을때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알수 있습니다. 서버폼에서 유용합니다.

 

 

/etc/fstab

- 파일은 시스템 시작 시 자동으로 mount할 파일 시스템의 목록이나 옵션을 저장합니다.

- 이 파일에서 오타가 난다면 컴퓨터가 망가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사용하는것을 지양합니다.

- vi로 편집할수 있습니다.

 

장치, 마운트위치, 파일 시스템 타입, 옵션, dump, 점검여부

순으로 나와있습니다.

 

 

 

# mount -a : fstab의 모든 목록을 mount한다.

  ㄴ 설정이 끝나고 입력합니다.

 

 

실습

부팅될때 자동으로 정한 디렉터리에 mount되도록 하는 실습.

 

 

1번

/ect/fstab에 mount하기(장치명,uuid,label)

 

장치명

 

uuid

 

label

 

2번

/etc/rc.d/rc.local에서 mount 하기

 

 

 

설정할때 주의사항

파일을 변경 : 시스템을 reboot해야 적용됨.

명령어로 변경 : 현재 상태는 바뀌지만 reboot하면 날라감.

 

결국 mount를 할때 장치명, uuid, label 형식을 다 사용할수 있다.

 

 

free

- 현제 사용하고있는 메모리영역이 얼마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swap 공간 추가

- 파티션을 나눠서 사용해야함.

 

 

스왑파티션 포맷 (mkfs)

 

# mkswap –c [장치명]

 

 

스왑파티션 활성화(mount)

 

# swapon [장치명]

- swapon -s : 현재 swap 상태를 확인한다

# swapoff [장치명] - 비활성화.

 

 

/etc/fstab에 등록 or rc.d/rc.local

ㄴ 자동으로 서버를 실행시켰을때 마운트되기 위해.

 

실습

 

 

 

 

 

 


pt

 

정적 라우팅

 - 모든 경로에 대한 정보를 직접 관리자가 입력해주는 방식. 단순 경로 네트워크나 단일 외부 경로를 가진 최종 사용자 네트워크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라우터장비 이외에 리눅스,유닉스,윈도우등 os에서 기본적인 기능으로 제공됩니다.

 

 

Default 라우팅

-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입력할 수 없음으로 기본 라우팅 정보를 입력합니다.(어디로 나가야 할지 모를때.)

 

 

명령

 

ip route 0.0.0.0 0.0.0.0 [next_ip | exit_interface]

ex) ip route 0.0.0.0 0.0.0.0 serial0/0/0

0.0.0.0 : 쿼드 제로 네트워크 주소 및 서브넷마스크(쿼드제로 네트워크 = 0.0.0.0 0.0.0.0 →모든 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

  • 라우팅 정보가 없는 모든 네트워크와 서브넷마스크를 의미한다.
  • 라우팅 경로가 다중 경로인 경우 default 경로가 지정되더라도 경로 지정이 필요하다.
  • 인터넷 단일 경로 라우터의 경우

 

실습

 

디폴트 라우팅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구축

 

R1

 

en
conf t
hostname R1
no ip domain-lookup
int gig0/0
ip add 1.1.1.1 255.255.255.0
no shut
int s0/0/0
ip add 12.1.1.1 255.255.255.0
no shut
int s0/0/1
int add 13.1.1.1 255.255.255.0
no shut
exit
ip route 2.2.2.0 255.255.255.0 12.1.1.2
ip route 3.3.3.0 255.255.255.0 13.1.1.2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2

 

en
conf t
hostname R2
no ip domain-lookup
int gig0/0
ip add 2.2.2.1 255.255.255.0
no shut
int s0/0/1
ip add 12.1.1.2 255.255.255.0
no shut
exit
ip route 0.0.0.0 0.0.0.0 12.1.1.1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3

 

en
conf t
hostname R3
no ip domain-lookup
int gig0/0
ip add 3.3.3.1 255.255.255.0
no shut
int s0/0/0
ip add 13.1.1.2 255.255.255.0
no shut
exit
ip route 0.0.0.0 0.0.0.0 13.1.1.1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오타나면

erase startup 

reload

하면 초기화 됩니당.

 

 

동적 라우팅

- 일일이 라우팅정보를 다 세팅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라우터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 받기때문에 자신의 라우터만 세팅하면 주변 라우터의 라우팅정보를 알수 있습니다.

 

 

범위

•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 RIP(v1, v2), IGRP, OSPF

•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EGP, BGP

 

 

라우팅 정보

• Distance Vector : RIP(v1, v2), IGRP

• Link State : OSPF

 

VLSM

• Classful : RIP v1, IGRP

• Classless : RIP v2, OSPF

 

RIP

라우터가 알고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광고하도록 지정합니다.

- 단순하게 만들었고, 정보가 과도하게 많이 나옵니다.

ㄴ 이유는 그냥 무조건 주변으로 전부 정보를 보내기 때문입니다.(멀티캐스트 백본망으로 해서 UDP포트로 보냄.)

 

  • src : UDP(520), 출발지 ip
  • dst : UDP(520), 224.0.0.9(Multicast IP)
  • Classful 알고리즘이므로 넷마스크를 입력하지 않는다.
  • 라우터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입력한다.

명령어

 

• router [rip | ospf | eigrp | bgp]

      : 각 프로토콜 설정모드로 진입한다.

 

• network [IP]

: 광고할 네트워크 주소를 지정한다.

: 라우터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한다.

: rip은 넷마스크를 입력하지 않는다.

 

passive-interface g0/0

라우팅 정보를 수신할 라우터가 없는 곳이므로 해당 인터페이스 로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명령어를 입력해서 해당 인터페이스로는 라우팅정보를 업데이트 하지 않게 하는 명령어 입니다.( 라우터가 아닌곳에는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하지 마 )

 

 

실습 

 

 

 

R1

 

en 
conf t
router rip
network 1.1.1.0
network 12.1.1.0
network 31.1.1.0
passive-interface g0/0
exit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2

 

en 
conf t
router rip
network 2.2.2.0
network 12.1.1.0
network 23.1.1.0
passive-interface g0/0
exit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R3

 

en 
conf t
router rip
network 3.3.3.0
network 31.1.1.0
network 23.1.1.0
passive-interface g0/0
exit
exit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